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by 부동산 매니저 2024. 8. 16.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부산시는 2024년 8월 14일 오후 2시, 강서구 가덕도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설명회는 가덕도 신공항과 연계된 경제자유구역 조성 계획을 공유하고,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목차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초기 계획

     

    2022년 기본구상 용역: 초기 계획과 주요 내용

     

    •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조성사업은 2022년에 처음으로 기본구상 용역을 통해 구체화되었습니다.
    • 당시 계획은 총 4개 지구, 즉 눌차, 두문, 천성, 대항 지구를 포함한 약 900만 제곱미터(㎡) 규모의 개발 구상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들 지구는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눌차 지구 (447만㎡): 주거, 상업, 국제업무를 중심으로 한 공항 배후지원 기능을 담당.
    • 두문 지구 (92만㎡): 신재생에너지 거점 단지로 개발.
    • 천성 지구 (52만㎡): 자연경관을 활용한 관광 및 휴양 거점 단지로 조성.
    • 대항 지구 (309만㎡): 항공 복합물류 단지로 계획.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변경된 계획

     

    2023년 8월: 가덕도 신공항 배치 변경과 개발 계획 재검토

     

    2023년 8월, 가덕도 신공항의 배치가 해상에서 대항동으로 변경됨에 따라, 부산시는 기존 기본구상에서 계획된 대항지구의 물류시설 배치를 재검토했습니다. 이를 통해 관광 및 휴양 기능을 강화하는 새로운 구상이 마련되었습니다.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변경된 계획에서는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되고, 개발 면적도 확대되었습니다.

    • 눌차 지구 (770만㎡): 기존 계획에서 물류 기능이 대폭 확대되어, 주거, 상업, 국제업무 및 물류 중심의 공항 배후지원 기능을 수행.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 두문 지구 (56만㎡): 신재생에너지 거점 단지로, 면적이 축소되었으나 중요한 에너지 허브로 남음.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 천성 지구 (163만㎡): 자연경관을 최대한 활용하여 관광 및 휴양 거점 단지로 확장.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향후 계획

     

    향후 계획: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및 행정절차

     

    • 부산시는 이번 주민설명회를 시작으로, 앞으로의 행정절차를 신속히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 또한, 새롭게 마련된 토지이용계획을 바탕으로 2024년 연말까지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가덕도 공항복합도시가 부산의 핵심 경제자유구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4개 지구에서 3개 지구로 압축

     

    가덕도 공항복합도시 조성사업은 부산시의 미래 경제 성장과 지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프로젝트입니다.

    지역 주민들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가덕도와 부산 전체가 국제적 경제 허브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부산광역시